공간이 주는 여러가지 매력중에서 사람들이 잘 말하지 않은 것이 있는데,
나는 그 중에 하나가 광할함? 넓직함?이라고 생각한다.
도시에 사는게 익숙하고 사람이 붐비는 곳에 사는게 익숙해지다보니 나에게 주어진 공간이 작은 것에 익숙해지고, 나에게 넓은 공간이 주어졌을 때의 안락함에 대해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나에게 이런 사치스러움을 느끼게 해준 장소는 첫째는 부모님 집이고 둘째는 여행할 때 들린 스테이 였다.
부모님은 집은 입지도 좋고 평수도 커서 큰 아파트에서만 느낄 수 있는 안락함이 일품이다.
그리고 스테이는 호텔의 방에 익숙하고 호텔에서 제공해주는 사람들과 공유하는 부가서비스에 익숙했던 나에게 신선한 충격을 줬다. 해외여행을 하며 친구들과 함께 묵은 에어비앤비에서 느낀 경험가 비슷하게 시선했다.
대문을 열고 들어서면 나만이 쓰는 프라이빗한 공간, 거기에 경치가 좋다던지 집안 인테리어가 좋다던지 다른 장점들이 있다면 내가 큰 기쁨을 느끼는 것을 느꼈고, 이와 유사한 경험을 여러번 하고 내가 내린 결론은 가장 큰 것중에 하나는 넓직한 공간을 나 혼자만 사용하는 프라이빗함, 사치스러움에 있다고 결론 내렸다.
이번에 간 코리아 하우스비전에 전시된 Day Stay (Muji와의 협업), 그리고 Stem Garden에서 이러한 사치스러움을 느꼈다. 카페와 전시공간의 특성상 내 옆에 사람들이 있었지만, 일종의 프라이빗함을 느끼기엔 충분했고, 사치스러움에서 오는 경험은 굉장히 만족스러웠다.
사람들이 다수 있는 공간이지만, 사람들이 소유하는 공간을 넓어보이게 느끼게하고 사치스러움을 주기 위해
오히려 건축물과 인테리어는 심플하게 하고, 최대한 탁트인 전망과 조경, 넓직한 투명창과 넘치는 자연광, 그리고 실내에 채운 녹색 식물들 굉장히 좋은 경험이었다.
내가 느끼기에 가장 중요했던 것은 고저차였던 것 같다.
해당 지역의 조망이 특별히 좋은 것은 없었지만 평지를 위에서 내려다볼 수 있어서 조망이 탁 트이고, 하늘을 보는데 가리는 것이 없는 점 그리고 이러한 탁 트인 것과 너무나 어우러지는 건축은 이 공간의 큰 경쟁력으로 느껴진다.
다음 스테이에 있어서는 이러한 부분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신축과 리모델링을 하고 싶다.
특히 해당 스테이에는 루프탑공간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충분히 활용하여 사람들에게 넓은 공간을 전유하고 있다는 사치스러움을 전해주고 싶다.

탁 트인 Stem Garden 내부
큼직한 통창과 천장에 낸 채광창이 인상적이다.

멀리서 본 Day Stay와 Stem garden
사진으로는 담을 수 없는 탁트임

Stem Garden 천장의 채광

Day Stay의 심플한 내부와 거실과 데크가 이어져 확장감이 있는 것이 인상적.
https://youtube.com/shorts/8PF8mmbaiZc?feature=share

https://youtube.com/shorts/VQ6N2736oXU?feature=share

건축에서 심미성을 위해서 이렇게 짓는 것은 쉬울(?)수 있다.
사업주의 입장에서 고려해야할 것은 수익과 이런 사치스러움의 밸런스.
대중적이 공간을 지향할 것인지 아니면 소수의 마니아를 위한 공간으로 만들 것인지?
너무 대중적이면 지나치게 상업적이며 이런 사치스러움을 느낄 수가 없을 거다.
이런 부분을 어떻게 해결해나갈 것인지가 중요하다.
'취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의 재미 그리고 공간과 소품들 - 2편 공간과 소품들 (1) | 2022.12.18 |
---|---|
넷플릭스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의 재미 그리고 공간과 소품들 - 1편 재미요소 (1) | 2022.12.17 |
Youtube Music 2022 Recap!!! 음악으로 알아보는 나의 2022년 (0) | 2022.12.09 |
[공간] 조용히 책을 읽고 싶다면, 소전서림 (0) | 2022.11.15 |
[쇼핑] 옷도 싸게 사고 싶고 환경도 생각하는 당신이라면, 애프터어스 팝업스토어 in 성수 (1) | 2022.11.14 |